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액 계산, 최대 522만원!

Avn

Updated on:

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액 계산 최대 522만원!

청년희망적금은 정부 예산에서 저축장려금을 지원하는 상품으로 매월 10만원씩 최대 50 만원까지 2년간 납입하면 정부지원금과 이자를 더해 만기 시 최대 120만원을 받을 수 있는 금융상품입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청년덕금 만기 수령액 계산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.

2023 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액 계산

  • 만기 수령액: 납입금액 + 정부지원금 + 이자

납입금액

  • 희망적금의 납입금액은 매월 10만원입니다.
  • 따라서 2년간 총 납입금액은 10만원 x 12개월 x 2년 = 240만원입니다.

정부지원금

  • 청년적금 2023년 기준 매월 10만원씩 2년간 납입하면, 10만원씩 총 240만원을 지원 받습니다.

이자

  • 희망적금의 기본금리는 연 3.0%입니다. 여기에 우대금리를 더하면 최대 연 10.1%의 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.

우대금리 조건

  • 자동이체: 매월 10만원씩 자동이체를 설정하면 연 0.5%의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.
  •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: 청년내일채움공제에 가입하고 매월 납입하면 연 0.5%의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.
  • 비대면 가입: 비대면으로 가입하면 연 0.2%의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.

우대금리를 모두 적용하면 최대 연 10.1%의 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. 따라서 240만원의 납입금액에 연 10.1%의 금리를 적용하면, 2년 후 만기 수령액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.

  • 만기 수령액 = 240만원 + 240만원 + (240만원 x 10.1%)
  • 만기 수령액 = 522만원

따라서 2023 청년희망적금에 매월 10만원씩 2년간 납입하고, 우대금리를 모두 적용하면 만기 수령액은 522만원이 됩니다.

청년도약계좌 역시 비슷한 상품으로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도와 5년 간 최대 70만원 적립으로 5천만원의 목돈 마련으로 금리는 최대 6.5%로 적용됩니다.

오늘 제가 준비한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.


이 블로그의 다른 카테고리 글